● 선수들의 약물 복용은 유사 이래로 끊임없이 시도되어져 왔으나 기록에 의하면 3세기 말경 고대 도시국가 시대부터 본격적으로 행해졌다고 한다. 고대 올림픽 경기에서도 선수들이 승리를 위하여 참깨를 많이 먹었으며 고대 그리스에서는 버섯 종류를, 고대 로마의 투기사들은 그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혼합된 약물제재를 먹고 전차 경기에서는 말에게 꿀이 섞인 특별한 물을 마시게 했었다고 필로스트라(Phylostra)와 갈렌(Galen)은 적고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아비시니안(혹은 이디오피아) 당나귀 풀가루를 재배하여 기름에 끊여, 훈제한 장미 꽃잎가루와의 혼합액을 만들어 즐겨 사용했다고 한다. 스페인 역사가 Guterez는 잉카인 들이 그들의 수도인 Cuzco에서 에콰도르의 Quito까지 1,750km를 단 5일만에 달린다는 놀라운 주행능력을 기록하면서 이들의 능력은 그들이 달리며 씹는 코타(coca)잎과 관계가 있을 것이라 했다. 또 멕시코 아즈텍의 한 부족인 Tarahuama족은 선인장의 일종인 peyote를 써서 72시간을 쉬지 않고 달릴 수 있었다고 한다. 중앙아메리카나 서부아프리카의 어떤 부족들은 예로부터 콜라 에퀴미네타(cola accumiata)와 콜라 니티다(cola nitida) 그리고 어떤 종류의 버섯 등 야생식물의 성분 중에 있는 특수한 효능을 알고 그들이 행군이나 경주를 할 때 사용했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스포츠에서 분명한 도핑사례가 나타난 것은 19세기부터로 카페인(caffeine), 알코올(alcohol), 니트로 글리세린(nitriglycerine), 코카인(cocaine), 스트리키닌(strychnine)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특히 1950년대에 들면서 개발된 수많은 신약으로 도핑사례가 급증하였고 그에 따른 부작용도 그만큼 빈번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1967년 재발족된 IOC 의무의원회(Medical Commission)의 주도하에 처음으로 1968년 그레노빌 동계올림픽과 멕시코 하계올림픽에서 도핑검사가 실시될 때까지 수많은 선수들이 사망하거나 혹은 약물의 부작용으로 경기도중 기절하거나 정신착란증세를 보여 정신과 치료를 받는 선수가 속출하였다, 현재는 국제 올림픽위원회에서 규정하고 있는 금지 약품으로 흥분제(stimulants), 마약성 진통제(narcotics), 아나볼릭 스테로이드(anabolic arents), 베타 차단제(beta-blockers), 이뇨제(diuretics), 펩티드 호르몬 및 유사품(Peptide and glycoprotein hormones and angloues) 등 6개 분야와 그 사용법이 제한되고 있다. 또한 금지된 방법으로는 혈액 도핑(blood doping)과 약리학적, 화학적 혹은 물리적 도핑(physical manipulation)이 있으며, 그 외 제한을 가할 수 있는 약물로는 알코올(acohol), 마리화나(marijuana), 국소 마취제(local anaesthetics) 및 코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가 포함된다. 이들 가운데 한약과 관련하여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흥분 자극제이다. IOC에서 매년 발표하는 "금지 약물 규정(IOC regulation)"에 의하면 흥분 자극제는 암페타민과 혼합제재, 아드레날린(에피네프린)과 유사한 제품(에페드린), 카페인, 코카인 등을 포함하여 50여종에 이르며 소변의 약물 농도가 이들 약물중 한가지 이상 양성 반응을 보일 때나 약물의 농도가 규제 농도 이하일 때라도 각각의 농도를 합하여 그 합한 농도가 10㎍/㎖ 이상일 때는 양성으로 간주한다. 아드레날린 유사물질(adrenalin-like substances)에는 아드레날린(에피네프린), 에페드린(ephedrine), 슈도에페드린(phenylpropanolamine) 등이 포함되며, 이 중에 페드린과 슈도에페드린은 감기약이나 고초열에 처방되어 올림픽 때마다 자주 문제를 일으켜 왔다. 경기력 향상에 대한 근거는 없으나 피로 지연과 호전적 심리상태를 유발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런 제재는 상처 치유를 지연시키기 때문에 치료를 어렵게 만들고 부상의 정도에 따라서는 영구 불구상태를 초래할 수도 있다. 특히 한약 가운데 흔이 처방될 수 있는 마황(Ephedta sinica Stapf, E.Equaisetina Bge, E.)이나 반하(Pinellia ternata Breit)에 많이 들어 있으며, 그 외에 심엽황화염(Sidacordifola L.)에도 에페드린이 함유되어 있다. 또 많이 쓰이지는 않지만 통증 치료에 활용되는 마전자(Strychnos nux-vomica L.)나 여송과(Strychnos Ignatil Berg) 등에도 스트리키닌(strychnine)이 들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중 마황은 땀을 나게 하고 체온을 저하시키며 기침을 멎게 하고 이뇨 작용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어 한의학에서는 주로 외감성 감기나 천식, 부종 등에 처방되며 사상체질의 태음인 처방에 주로 활용되지만 고혈압환자나 허약자들에게는 신중하게 사용해야만 하는 약물이다. 반하는 한의학에서의 비생리적인 체액인 습담성분에 의한 여러 가지 질병을 치료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위장관의 질병이나 구토 등에 많이 쓰이지만 맛이 매우 맵고 독성이 있어 중독증상을 나타내므로 처방시 제형에 주의 요한다. 또한 마전자는 염좌, 타박상, 골절 등을 치료할 때나 인후통 등에 소염, 해독시킬 목적으로 다른 약물과 배합하여 활용되며 이 역시 대량 복용시 마비나 경련 등의 중독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카페인은 커피, 차, 콜라, 청량음료 및 초콜릿 등의 기호 식품에도 흔하게 들어 있는 약제로 일반적으로는 편두통 치료에 쓰이지만 운동 선수는 긴장도를 높이고 반응 시간을 줄이며 집중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복용한다. 연구에 의하면 카페인을 복용하면 글리코겐을 절약하기 때문에 피로를 지연시키고 지구성 경기에서는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과민성, 불면증, 빈맥, 호흡곤란, 이뇨작용과 콜레스테롤 상승 등의 부작용이 있어 2-3시간 내에 8잔 이상의 커피를 한꺼번에 마신 량에 해당하는 소변 논도 12㎎/L 이상인 경우에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카페인은 한약재 중 잎사귀 성분이나 차로 많이 활용되는 약제에는 대개 약간씩은 포함되어 있는데, 많이 처방되지는 않지만 구골수피(Ilex cornuta Lindl), 구골엽(Ilex cornuta Lindl), 고정다(Ilex latifolia Thunb), 오동자(Firmiana Simplex(L) W. F. Wight), 다엽(Canellia Sinensis O. ktze) 등에 특히 많이 들어있어 다량 사용시 주의를 요한다. 흔히 마약이라고 불리는 환각 진통제는 양귀비 유도체로서 몰핀(morlphine), 페치딘(pethidine), 헤로인, 코데인(codein) 등을 함유한 약제를 일컫는다. 심한 통증에 사용되거나 기침을 멎게 하고 지사제의 역할도 하지만 과량사용시 혼미, 호흡부전, 저혈압 및 근육 경직 등이 나타난다. 한약재 가운데 양귀비과에 속하는 앵속각(Papaveris Fructus)과 백약자(Stephania Cepharanthra Hayata), 백굴채(Chelidonium majus L.) 외에도 여춘화과실(Paraver rhoeas L.) 등에 코데인과 몰핀이 들어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중 앵속각은 진통, 진정, 지사, 진해 등의 효능이 다른 약물보다 훨씬 강하여 옛날에는 호전되지 않는 관절염, 만성적인 설사나 해수에 쓰이기도 하였으나 요즘의 한의원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약물이다. 또한 백굴채는 해독, 진통, 친해 등의 작용이 있어 주로 위장 및 기관지 계통의 질환에 쓰이지만 소량을 투여하므로 대량 투여시는 주의해야 하며 그 외의 약물들은 국내에서는 거의 처방되지 않고 있다. 아나볼릭 스테로이드는 1927년 시카고 대학 교수인 프레드 코호가 황소의 고환에서 추출한 우 아세톨과 벤젠으로 처리하여 테스토스테론의 한 형태로 최초 개발한 이후 여러 종류의 아나볼린 스테로이드류가 합성되어 사용되었다. 한때 세계 2차 대전 이후 유태인들을 위한 '기적의 약물(miracle drug)'로 각광받기도 했지만 지금은 많은 부작용으로 말리암아 남성성기 기능저하증, 재생불량성 빈혈, 왜소증, 유방암 등의 치료에 제한적으로 처방된다. 아나볼린 스테로이드가 운동 선수에게 처음 쓰인 것은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서 구소련 선수들에 의해 알려진 뒤 1954년 비엔나 세계 선수권 역도대회에서 소련 팀닥터에 의해 밝혀졌다. 서구에서는 1958년 스테로이드인 다이아나볼이 만들어진 이후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에 특히 비대한 근육을 요하는 단거리 종목이나 힘을 쓰는 무산소성 종목의 선수들을 중심으로 널리 퍼지게 되었다. 아나볼릭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은 매우 흔하며 선수들이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약물을 복용함으로써 상태를 더욱 악화시킨다. 경미한 부작용은 약물 복용을 중단함으로써 증세가 줄거나 정상화될 수 있지만 장기적이거나 과량 복용은 정신분열증과 같은 정신 장애는 물론 간기능 저하로 인한 간자반병, 간경화 등의 악성 종양과 혈압 상승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의 증가로 인한 심근경색과 뇌졸중 등이 나타나 생명을 위협하게 된다. 한약 중에 고우난낭(Cow testicle) 등 동물의 고환을 제외하고는 동물성 스테로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한약재는 거의 없는 편이며 그나마 처방되지 않고 있다. 주로 고혈압, 협심증, 부정맥, 심근경색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어 오던 베타 차단제는 불안 해소와 지정 효과로 사격이나 양궁 등 장시간 정확한 조준이 필요한 종목에 사용되었으나 그 외에 경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는 없었다. 한약재 중에도 우황청심환 등 불안 해소나 진정 작용의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은 많지만 베타 차단제와는 다른 기전으로 작용하며 피로감, 우울증, 기관지 경련 및 성생활 장애 등의 부작용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특히 운동 선수들이 즐겨 복용하는 우황청심환은 한의학에서 뇌졸중으로 인한 인사불성, 정신혼미, 언어장애, 구안와사, 수족부전 등을 치료하기 위한 응급처치용 처방으로서 그 외에도 불안, 초초, 정신질환, 몽유 등의 증상에 좋은 효능을 가지고 있다. 30가지 이상의 약재로 이루어진 우리 나라 고유의 처방으로 도핑 금지 약물에 해당하는 성분은 전혀 없으므로 안심하고 복용해도 된다. 흔히 날씬한 체형을 원하는 체조, 발레 등의 종목이나 권투, 레슬링, 유도, 태권도 등 빠른 시간 내의 체중감량을 목표로 하는 종목에 흔히 사용되는 이뇨제는 근육 경련, 저혈압, 급격한 탈수와 전해질의 불균형으로 사망에 이르게도 하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한약재 가운데 택사, 목통, 차전자, 저령, 왕불류행, 백복령등 이뇨 작용을 하는 약물은 많이 있지만 이뇨제처럼 사구체에 직접 작용하여 급격하게 뇨를 생성시키고 배설시키는 강력한 약제는 없으며 완만한 작용만큼 부작용도 거의 없다. 아나볼릭 스테로이드와 함께 복용하거나 최근 문제가 된 적혈구 생성 호르몬인 조혈촉진 호르몬(에리스로포이에틴) 등이 포함되어 있는 펩티드 호르몬과 유사 약물은 화학적 합성에 의한 것으로 한약재 중에서 발견하기는 쉽지 않다. 그밖에 사용이 제한된 약물 가운데 정해진 규칙을 따라 신고하면 외용약으로 사용하거나 비강을 통한 흡입 또는 국소 및 관절강 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코티코스테로이드는 주로 항염증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우신(Bos taurus domesticus Gmelin)이나 자하거(Homo sapiens L.) 등이 코티손(cortisone)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자하거는 사람의 태반으로 제조하는 문제점 때문에 최근에는 동물로 대치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추출액을 이용한 여러 가지 치료법이 개발되어 있다. 자하거에는 각종 호르몬 및 그 전구체 외에도 각종 효소, 면역 글로불린, 혈액응고인자 및 다당류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최근 스포츠과학분야에서는 도핑 약물을 개발한다기보다 여러 가지 관점에서 운동수행능력을 높일 수 있는 보조 약물(Ergogrnic aids)로서의 한약복용에 의한 효능에 관하여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일련의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우선 단일 약물에 관한 실험으로는 인삼(Ginseng Radix), 오가피(Eleutherococcs senticocus Maxim), 매실(Mume Fructus praeparatus), 오미자(Maximowicziae Frutus) 등이 있으나 이들 중 인삼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다. 인삼의 효능은 실로 다양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효능은 주로 사포닌이라고 하는 배당체로부터 나온다고 밝혀졌다. 인삼은 수삼의 가공형태에 따라 홍삼, 백삼, 태극삼, 당삼 및 봉밀삼으로 분류되는데, 그 중 홍삼에는 항당뇨 효과가 있는 아데노신(adenosine)이 다른 종류의 인삼보다 많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에 대하여 운동생리학과 스포츠의학분야에서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인삼 qoekdc-의 뚜렷한 적응소(adaptogenic aget nt) 효과 및 약리적 작용 때문으로 그간 운동시 항진되는 중추신경계, 심혈관계, 에너지 대사기전, 항산화기전 및항스트레스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어 졌다. 인삼이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려는 그간의 연구를 변인별로 살펴보면, pyruvate(초성포도산염)나 lactate(젖산) 등의 대사와 관련된 것이 가장 많았다. 성낙응 등(1965)은 인삼이 pyruvate, lactate의 증가율과 thiamine(비타민 B 복합체의 성분) 감소율을 낮추어 피로도가 적고 피로회복을 촉진시킨다고 하였으며, Lee와 Nam (1978), 최대혁(1987) 등은 안정시 및 회복시의 심박수를, 정일규(1992)는 12주간의 인삼투여가 최대하운동시 심박수 및 젖산축적을 유의하게 낮추었다고 보고하였다. 홍일성 등(1975), 유철 등(1981)은 인삼이 간조직내의 LDH (M type)의 활성도를 감소시키는 반면, 심근조직내 LDH(H type)는 증가시킴으로서 lactate의 생성을 억제시킨다고 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Wang등(1990)도 인삼 polypeptide가 LDH활성을 억제하여 젖산 형성을 감소시키는 반면 pyruvate는 증가시켰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인삼은 장시간의 최대하 운동에서 쥐의 글리코겐 이용을 억제하고 지방질의 산화를 촉진함으로서 피로지연과 운동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Avakian 등, 1983), 노재금(1988)은 인삼의 급속다량 투여는 lactate의 hydration(수화작용∙水和作用)에 관련되는 대사성 완충작용이 있어 항피로 및 피로회복 촉진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최근 한현식(1999)은 스피린트 운동을 시키면서 인삼을 투여한 결과 항산화 효소 활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항산화제로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고 보고하였다. 그 외에도 100m 자유형 경영기록향상 (정동식, 1988), 축구선수의 근력, 환기량 및 운동지속시간의 증가(휴승희, 1989), 레슬링 등의 체급별 선수의 체중조절시 체력유지효과(이명복 등, 1986; 김창규, 1985)등 선수를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인삼과 같은 과인 오가과(Araliaceas)에 속하는 오가피 또는 적응소 효능을 가지는 배당체에 의해 강장제로서의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학자에 따라서는 인삼보다 나은 임상적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오가피와 운동수행능력에 관한 연구는 소련과 동구권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Brandis와 Pilovitskaya(1966),Dardymov(1971), Brekhman(1975), Gordeicheva 등(1975) 등에 의해 산소섭취량과 지구성 운동능력향상에 대한 영향이 밝혀졌다. 국내연구에서 윤광로 등 (1986)은 오가피 투여로 HDL-C, LDH, 무산소성근지구력, 최대산소 섭취량 수준이 향상되는 것을, 정동식 등(1988)도 인삼과 가시오가피가 젖산내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운동 후 회복기의 심박수 회복을 및 젖산대사 촉진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그 외 비록 단편적인 연구에 그쳤으나 구연산과 무기질 등을 풍부하게 함유한 매실과 오미자에 대한 연구가 있었는데, 박상갑 등(1988, 1990)은 매실투여가 장거리 육상선수에서 혈중 lactate농도, LDH 및 혈중 TG의 감소와 HDL-C의 증가를, 윤형기(1995)는 오미자투여시 축구선수의 체력요인의 증가를 각각 보고 하였다. 처방약물에 의한 연구는 보기(補氣), 보혈(補血), 보기혈제(補氣血劑) 위주로 이루어 졌는데, 주로 사물탕(四物湯), 사군자탕(四君子湯), 쌍화탕(雙和湯), 생맥산(生脈散),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 등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안철(1981)은 쌍화탕(雙和湯)이 조혈작용과 유영시간 증가에, 박명득(1987)도 쌍화탕(雙和湯)이 유영시간증가와 부신피질기능부전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김길훤(1984)은 운동부하후의 피로회복에 미치는 사상처방(四象處方)인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과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보다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이 유의하다고 하였으나, 서정원(1991)은 축구선수들에 대한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의 투여후 근력, 유연성, 민첩성 및 환기량의 증가와 심박수 및 최대심박수의 감소를, 오재근 등(1995)은 근대오종 선수들에 대한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 투여가 조혈가능 및 최대산소섭취량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고하였다. 또한 송순기 등(1998)은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을 장거리 선수에게 투여한 결과 FFA와 lactate 및 전해질 대사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오재근 등(1998)은 체중조절 태권도 선수에게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을 투여한 결과 신체조성과 전해질 및 renin 등의 호르몬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오대성(1998)은 생맥산(生脈散)이 쥐의 유영시간증가와 간장보호작용이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이응세(1989)는 인삼은 에너지동원이 우수하며 생맥산(生脈散)은 운동지속시간의 연장, 심박수의 저하에 효과가 있고, 생맥산(生脈散)과 전해질 혼합 용액은 혈압과 혈장삼투질농도의 상승을 억제하고 체중증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김석 등(1991)은 생맥산(生脈散)투여로 인한 근육내 glycogen 함량의 증가와 LDH활성도의 감소를 보고하였다. 이명천 등(1997)도 생맥산(生脈散)과 전해질 혼합용액의 투여를 통해 젖산내성과 운동지속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오재근 등(1994, 1995)은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을 장기투여 및1회 투여한 후 각각의 효능을 살펴보았는데, 장기투여는 심박수, glucose, lactate, lipid profile, acid-base, catecholamine 등에, 1회 투여의 경우도 glucose, lactate 및 전해질 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이철완(1988)은 사군자탕(四君子湯), 四物湯 및 八物湯의 효능 비교를 통하여 근육피로의 회복과정중 보기(補氣), 보혈(補血) 및 보기혈제(補氣血劑)의 투여는 유의성이 있고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기(氣)의 활성화가 선행된 보혈제(補血劑)의 응용을 지적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김동희 등(1998)과 조성체 등(1999)은 八物湯 투여가 glucose 사용 증대, lactate 축적 억제와 빠른 회복 및 CPK의 빠른 회복과 lipase의 안정화에 유의 하다고 하였으며, 오재근 등(1999)은 여자 필드하키 선수들에 대한 四物湯투여가 헤모글로빈 및 최대산소섭취량 수준의 향상과 glucose, NEFA, lactate 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고하였다. 오민석(1991), 한대희 등(1991)은 쌍화탕(雙和湯), 팔물탕(八物湯),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 및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의 비교실험을 통하여 유영운동 후 근육피로회복에는 음혈(陰血)의 보충보다 기(氣)의 활성화가 선행된 보기혈제(補氣血祭)의 장기투여가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 외에도 하익수(1988)는 한의학의 장부(臟腑)의 기능에 근거하여 운동에너지원의 동원에 寶肝湯, 운동에너지 재합성에 보신탕(補身湯), 대사기질변화의 억제 조정에 보폐탕(寶肺湯)이유효하다 하였으며, 이강옥(1993)은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을 기허(氣虛), 혈허(血虛), 기혈허(氣血虛)의 증상을 나타내는 운동선수에게 투여하여 운동지속능력과 혈액화학적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을 보고하였으며, 김종우 등(1996)은 체중조절 중인 레슬링 선수들에 대한 보혈안신탕(補血安身湯) 투여가 epinephrine, norepinephrine, cortisol 등의 스트레스 관련호르몬의 수준을 유의하게 낮추어 준다고 보고하였다. 연구된 약물의 대부분은 한약의 효능의 효능을 가지고 있는 배당체의 뚜렷한 적응소(adaptogenic agent) 효과와 약리적 작용 때문에 운동수행시 여러 가지 에너지 대사나 심폐기능 및 피로회복 등에 효과적으로 만들어지는 것도 아니며 도핑 금지 약물의 성분을 함유하기도 않았을 뿐만 아니라 육체적으로나 정신적 손상을 가져오는 심각한 부작용도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