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마약없는 밝은사회

마약류폐해 없는 건강하고
안전한 삶을 위해 모두의 경각심이
필요합니다.

일반
  • Home
  • 예방자료
  • 간행물
  • 정기간행물

정기간행물

기본 테이블 상세
제목 마약중독자를 위한 무용동작치료
등록일 2003-07-31
조회 3,964

 

기획특집 - 표현예술치료

마약중독자를 위한 무용 / 동작 치료


 
류분순 | Ph. D, ADTR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교수

미국공인무용치료전문가

 

   오늘날 정신의학이나 심리학과 연관되는 학문은 넓다. 특히 예술과 인간정신영역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20세기 중반이후부터 활발해져서 표현정신병리학, 예술치료, 무용 / 동작치료 등의 학문분야체계가 생기게 되었다.

  무용 / 동작 치료(Dance / Movement Therapy)는 정신과 신체의 통합을 위한 과정으로 움직임을 정신치료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무용 / 동작 치료는 신체와 정신이 끊임없이 상호작용하고 있으므로, 곧 동작이 인격을 반영한다고 보고 있으며, 동작의 습관적 형태의 의식은 자신을 더 깊게 알 수 있는 출입구로서,  동작을 통해 자기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우리의 신체는 과거의 저장소로서, 유년기의 상처에 대한 흔적을 보여주며 또한 신체는 영혼이 알지 못하는 어떤 기억을 간직하고 있다.

즉, 인간은 정신적인 존재인 동시에 신체적인 존재이며, 신체는 항상 우리의 중요한 과거 경험들을 생생히 유지하고 반영하고 있는 ‘과거의 현재화’ 장소인 것이다.

이것은 단순한 신체에 의한 율동이 아니며, 인식하는 움직임 표현을 통해 인간의 안과 밖을  상호작용 시킨다.

  ‘미국무용치료협회(American Dance Therapy Association)’는 1966년대에 설립되어 최고의 높은 수준의 직업교육과 법적 자격을 수립하고 전문적인 교육분야로 확립시켰으며 국제학회 워크숍, 프로그램개발 및 정신병원, 정신건강크리닉, 지역사회치료센터, 특수학교 등에서 일하고 있는 공인 등록된 무용치료전문가와  무용치료사 1200 여명이 미국 49개 주와  전세계 30여개국에서 활동하고있다.

미국에서 학회가 인정하는 대학원 학위과정은 Antioch, Columbia, Hahnemann, Naropa, U.C.L.A, Lesly 등의 대학원이며 일반적으로 2-3년 과정과 700시간 이상의 감독하의 임상, 논문 등으로 이루어지며, 서류심사 후 D.T.R(공인 무용치료사)이 될 수 있으며A.D.T.R(공인 교육 전문가)은 10년 이상(3670시간이상) 의 인정되는 임상경험과 자신만의 이론,3편이상의 논문, 사례연구발표, 정신과 감독자의 소견서 등으로 시험이 통과되어야 한다.

한국에서는 . 정식 무용치료사가 될 수 있는 석·박사과정은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 전문대학원의 표현예술치료학과가 국내에서는 최초이다. 이곳은 2년 과정과 함께 700시간 이상의 감독하의 정신과 종합병원 임상을 요구하고 철저한 임상 실제와 과학적 이론을 갖춤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무용 / 동작 치료의 효과는 소아, 청소년,  성인 정신과 환자들, 약물, 알코올 중독자나 사회적 문제를 가진 개인, 노인들, 신경심리학적 손상을 갖고 있는 환자들로 무용치료의 평가를 발표한 많은  연구들을 볼 수 있다.

특히 알코올중독, 마약중독자들을 위한 무용치료에서 Fisher(1990)는  무용치료 프로그램으로, 이들의 자아 존중감을 증진시키고 생활환경과의 만남을 스스로 제시하게 되고 무엇보다 신체와 마음이 통합되는 경험을 통해 자기수용과 자발성이 확립되었다고 보고하고있다.  

한국에서 무용치료의 본격적인 임상 적용은 1992년 국립서울정신병원 정신재활과의 만성정신 분열증 환자로부터 시작되었다. 매주 1시간 12명 정도의 그룹치료로 지금까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임상적 적용의 효과는 이들의 대인관계와 사회성, 부정적 관념, 안정성, 적응성의 효과가 2000년 필자의 논문으로 발표되었고, 식사장애 여성의 신체상 변화, 부부 친밀감 효과 등도 다른 연구에서 보고되어 있다.

임계원 신경정신과에서는 아동무용치료를 통하여 정서장애아, 발달장애아, 자폐아 치료에 대상과의 관계성, 언어와 신체 통합에 좋은 효과를 보고하고 있으며, 부천 기 병원에서 치매노인을 통하여 기억회복의 효과를 가져오고 있고,, 소년원과 연계된 비행청소년 연구, 가출 청소년 연구에서 필자는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과 자존감 향상 및  충동조절에 관한 연구를 발표하였다. 또한  한국 무용치료학회에서는 10대 매매춘 여성, 알코올 및 약물중독자, 성폭력 피해자, 들의 임상을 통해 신체상과 자존감 향상을 보고하였다.


마약 중독자의 무용치료 

마약 중독자는 그 시작과 동기, 환경이나 취하는 약물이 다를지라도 약물에 중독된 이들은 신체·정신·영혼적으로 파괴 상태이므로 마약  중독자에 대한 재활은 다양성의 실재주의 치료로 의학적, 심리 치료적, 사회적으로 관계성을 맺는 단계, 해독의 단계, 습관에서 벗어나는 단계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문제의 다양성 때문에 다방면, 다양성의 원인적 해결책이 필요하므로, 사회 환경적 돌봐줌이 잘 해결되지 않는 한, 일방적인 의학적 심리학적인 도움은 효과가 없다고 본다. 

이렇게 복잡한 치료 안에 준해서 약물중독자에 대한 무용 치료법을 살펴보면, 약물중독자들은  낮은 자아 존중감과 부정적 관념으로 욕구불만이 누적된 것과 자신과 타인에 대한 불신으로 현실 속에서 적응되지 못하는 것으로, 정체감 확인을 위해 약물이 사용되어진다. 구체적으로 볼 때 약물의 영향으로 인해 신체 감각기관이 영향을 받게 되면  감지가 변하게 되며 생각도 변하고 이로 인해 행동하는데 영향이 미치고 그 뜻과 작용에 대한 일정한 정체성이 없어지거나 변하는 것이다


이들을 회복하기 위한  무용-동작심리치료는  먼저- 자신과 타인과 환경과의 관계성 인식의 단계 두 번째-습관화된 인식의 단계, 세 번째- 벗어나는 단계, 네 번째- 자유로움의 단계로 연결된다.


완전한 감각기관으로서의 신체

사람은  “나”라는 존재를 신체를 통하여 감지하고 행동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가지며 타인들과 함께 하는 삶과 환경을 깨닫는 것이다.

우리의 신체는 느끼는 신체, 기억하는 신체, 표현하는 신체라고 볼 때. 몸은 완전한 감각기관으로서 정신과 신체가 담겨 있고 환경적, 사회적, 정신적 영향을 받게 된다.

약믈의 피해는 우선 몸이 분리되어 감각이 둔해지고 신체의 경계를 의식하기가 어려워진다. 즉 자신의 몸에 대한 관계를 잃게 된다.

몸의 관계를 잃는다는 것은 삶의 관계를 잃게  되어 자기를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전제조건인 “자신이 되는 것”을 잃게 되는 것이다.


회복으로의 무용-동작치료

몸은 감정과 인식의  기초 위에 구성되므로 몸의 감지는 개인의 모든 인식과 감정의 중요한 요소이다.

치료 과정 안에는 무용즉흥 ,자기 표현 속에 자신을 다루는 것이 요구되고 또한 다른 사람을 감지하여  “지금-여기”에 대한 인식을 하게 한다.

그리하여 기초적 신뢰를 구축하고, 자신을 감지하고 타인을 감지해 관계성을 갖게 하고 진정한 자기정체성을 갖고 표현 하게 한다.

 

무용치료 프로그램 과정

1) 기본신뢰를 형성

2) 자신을 인식하는 가능성을 북돋아 주고 타인을 감지하는 도움을 주어 타인과      관계성을 맺을 수 있는 가능성 촉구

3) 자발적인 자기표현으로 열림


  1) 기본 신뢰 형성

신체성을  일으키고 형성할 수 있게 경험의 공간을 갖는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는  치료자와의 기본신뢰 위에서 치유가 가능하다. 발달 심리학적으로 볼 때 이 기초 신뢰는 엄마와 아기의 초기 대상관계와 같다.

“만남은 신체적 자각의 만남이다”  운동신경, 청각의 발달 시각의 접촉을 통해서 어린아이는 초기의 정상적인 공생관계를 가졌던 데서 분리되어진다. 이러한 안전한 접촉의 경험으로 기본 신뢰는 성장하고 사회 형태의 가족과 그 관계성을 맺음으로 영혼의 연결성이 이루어진다.

많은 중독자들은 성장 기간동안 또는 약물의 세계에서 두사람간의 신뢰와 긴밀한 관계가 결핍되어 있다. 실패한 사회 생활이 어느 일정한 시기에 이르러서는 약물에서 안전성과 은신처로 삼으려 한다. 서로가 상대방을 인정하는 것과 신체적으로 구체적인 돌봄은 중독자들에게 존재의 중요함을 경험하게 한다.

치료자는 그들을 다시 사회로 돌아가게 하는 목적아래 치료의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중독자들에게 중요한 것은 그들이 살아가는데 있어서의 삶의 무게를 받아들이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2) 인식과 타인의 감지를 통해 관계성을 맺을 수 있게 함

기본신뢰의 단계 다음으로 감정을 느끼고 그 느낀 것을 사실로 인정하는 갈등을 주제로 신체로  표현하고 동작으로 명확하게 나타내 보인다. 즉,  “말로서는 아직 표현 할 수 없어도 움직임으로 표현될 수 있다.”여기서는 개인에게 안전성과 신뢰를 보내는 자유공간을 주어서 시도하는 것이 중요한데,. 치료자가 개인의 장점을 보완시켜 주고  신뢰할 수 있는 사람과 감지의 초점을 맞추고 넓혀 갈 수 있다. 점차적으로 ”잊어버린 눌러둔 감정들, 장면, 기억, 또는 감정적인 동작이  살아 움직일 수 있으며. 그렇게 하므로써 의식은 정리되고 변화되어질 수 있다.“

특히 치료자와 함께 반응하고 반영해 주는 거울화 기법은  안전감과  현실 감지의 수단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느끼고 표현하는 신체를 놀이 형식으로 사용하는 창조적 분위기는 특별히 치료성이 크다.


  3) 자발적인 자기표현

․ 자신을 태초의 몸 자체로부터 차례로 성숙시키는 창조적 과정

․ 느끼는 신체의 힘을 스스로 경험하고 표현하게 한다.

․ 표현하는 신체와 통합된 내적인 힘에 동일성을 심어 주는 자신의 묘사

일상생활 안에서 자기 문제를 주제화 시키고 몸의 감지를 개선시키도록 촉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독자들에게는 늘 “새롭게 외부로부터 느끼는 몸”을 마취시키고자 하는 압력을 받는다. 거기에 그 자리를 메꾸고 싸울 힘이 없기 때문이다. “자신을 억누르는” 대신 자기를 발견하는 길로 무용치료의  표현법을 경험시키고 그것을 통하여 의식시키고 단련시키기에 가능하다. 프로그램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  4 System의 단계 ; 초기, 행동기, 완전케 하는 기간, 새롭게 방향을 정하는 기간

. 깊은 단계 (반사단계(Ⅰ), 상을 그려보는 단계(Ⅱ), 완전히 싸매는 단계(Ⅲ), 자      치적인 신체 반응단계(Ⅳ))

․ 사용된 상황 (연습중심, 경험중심, 갈등중심)

․ 시기와 상황모형, 기능, 기술 즉흥 등에 의한 동작치료방법

․ 필요한 구조형식(둘러앉거나, 둘씩 셋씩 또는 그룹전체로 )



마약 중독자들의 문제를 종합하면 기본 신뢰를 이룩하고 관계성을 맺는 것이 치료적 과정의 전제조건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신뢰를 주는 분위기와 신체적인 안정성을 보여주는 조건을 만들어 주고, 동시에 신체성을 통하여 “진정한 나”로  나아가게 된다.

자신과 남을 감지하는 출입구는 이완과 감수성 경험으로 또한 무용 동작을 통한 실제적 경험으로 발전시킬 수 있으며, 또한 내면을 보고 그것으로 느낄 수 있는 능력과 표현력은 자연스러운 즉흥적 표출로  나아가   결국 표현하는 신체로 긍정적인 자기정체성을 갖게 한다..

즉, 무용치료는 중독자의 분리된 신체성을 충분한 사랑의 접근으로 다시 완전케 하는 역할을 한다.

여러 가지 종류의 개인별 문제성을 만나게 되겠지만, 무용치료는 다른 치료와는 다르게 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참고문헌


이충경. 오동열(1998) : 마약중독관리 및 치료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


Anthony JC. Petronis KE. Early-onset drug use and risk of later drug problems. Drug Alcohol Depend 1995


Cadorer RJ, Troughton E, O'Gorman TW, Heywood E. Adoption study demonstrating two genetic pathways to drug abuse. Arch Gen Psy-chiatry 1995


Tarter RE, Mezzich AC. Ontogeny of substance abuse: Perspectives and finding. in: Vulnerability to Drug Abuse, Ed by Glantz MD, Pick-ens RW,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2


Brucht GN, Brakarsh D, Follingstad D, et al. Deviant drug use in adolescence: A review of psychosocial correlates. Psychol Bull 1973


Bauman KE, Ennett ST. Peer influence on adolescent drug use. Am Psychol 1994


Avstreih, A. The emerging self. Unpublished paper presented at the fourteenth Annual  Conference of the American Dance Therapy Association, Philadelphia, October 1979.

 

Barroso, F., Freedman, N., Grand, s., & Meelm J. van. Evocation cf two types of hand movements in information process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978,


Bartenieff, I. Effort observations and effort assessment in rehabilitation. New York: Dance Notation Bureau, 1962.


Bernstein, P.L. Personal communication, November 1980.


Berrol, C. F. A comparative study of Dance/movement therapy and sensory integration. Paper presented at the American Dance Therapy Annual Conference, Philadelphia, 1979.


Bergman, J.,  Madras, B.K., Johnson, S.E. and Spealman, R.D. (1989) Effects of cocaine and related drugs in nonhuman primates Ⅲ. self-administration by squirrel monkeys.J. Pharmacol. Exp. Ther.


Chace, M. Dance alone is net enough... today's dance therapy demands special skills and training. Dance Magazine, July 1964,


Chodorow, J. Dance and Body Experience in Analysis. In Murray Stein, ed., Jungian Analysis, La Salle: Open Court, 1982.


Christiansen, B. Thus speaks the body: Attempts toward a personology from the point of view of respiration and posture.  Oslo, Norway: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1963.


Condon, W.S. Synchrony units and the communication hierarchy. Unpublished paper, 1963.


Darwin, C. The expression of the emotions in man and animals. London: John Murray, 1872.


Dudley, D. L., Martin, C. J. & Holmes, T. H. Psychophysiologic studies of pulmonary ventilation. Psychosomatic Medicine, 1964


Dulicai, D. Movement therapy on a closed ward. Journal of the Bronx Statd Hospital, 1973,


Ekman, P., & Friesen, W. V. The repertoire of nonverbal behavior: Categories,  origins, usage and coding. Semiotica, 1969,


Espenak, L. Diagnosis and treatment in psychomotor therapy. Lecture and demonstration presented to the American Dance Therapy Association, Hunter College, New York, May 1968. Unpublished manuscript.


Hunt, S. Personal communication, April 1980.


Johnson, D., & Sandel, S. Structural analysis of group movement sessions: Preliminary research. American Journal of Dance Therapy, 1977,


Kendon, A. Movement coordination in social interaction: Some examples described. Acta Psychologica, 1970,


Leventhal, M. B. Dance therapy: A fundamental treatment process. Swedish Journal of Anthropology and Dance,, Stockholm, Sweden, May 1983.


Logan, B. Personal communication, April 1980.


Reich, W. Character analysis. New York: Noonday Press, 1949.


Schoop, T. Dance and delusions. Proceedings of the Seventh Annual Conference of the American Dance Therapy Association, 1972,


Yablonsky, L. Psychodrama: Resolving emotional problems through role-playing. N.Y.: Basic Books, 1976.


Zwerling, I. The creative arts Therapies as psychotherapies: An address to the conference. (Under grant from Maurice Falk Medical Fund.) The Use of the Creative Arts in Therapy, 1979,


Ritz, M.C., Lamb, R.J., Goldberg, S.R. and Kuhar, M.J. Cocaine receptors on dopamine transporters are related to self-administration of cocaine. Science, 1987.

Summer 2003 - 아름다운 젊음

댓글
0
이름 : 비밀번호 :
0 / 300

현재 페이지의 콘텐츠 안내 및 정보 제공에 만족하십니까?

확인
비밀번호 확인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