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정시설 마약류사범 재활교육 제1차 회의
지난 1월 4일(화) 교정시설 수용 마약류사범에 대한 재활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제1차 회의를 개최하고 이철희 부산지부 고문을 재활교육 Task Force 팀장으로 위촉하였다. 재활교육 Task Force 팀 전체회의를 1월 20일 전체회의를 개최하여 재활교육프로그램을 확정하고 재활교육을 진행할 강사를 평가하기로 하였다. 재활교육 Task Force 팀에는 박기배 부이사장, 이범식 부이사장, 이재규 대구지부 부지부장, 그리고 중앙본부 및 담당직원들이 팀원으로 참여한다…
● 교정시설 마약류사범 재활교육 전체회의
지난 1월 20일 재활교육 전체회의를 개최하여 재활교육 10회기 세션을 확정하고, 1월 29일 경남부곡에서 1박2일 일정으로 워크숍을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 또한 8개 교정시설별로 해당 지부를 확정하였다. 중앙본부는 영등포교도소, 충주구치소, 홍성교도소를 경기지부는 의정부교도소, 대구지부는 경주교도소를, 부산지부는 진주교도소를, 전북지부는 군산교도소를, 광주전남지부는 목포교도소를 담당키로 하였다.
● 2011년도 제 1차 교정시설 마약류 사범 재활교육 워크숍 개최
지난 1월 29일(토)부터 30일(일)까지 1박 2일 일정으로 경남 부곡에서 2011년도 제 1차 교정시설 마약류사범 재활교육 워크숍을 실시하였다.
문희 이사장을 비롯하여 특히 법무부에서 유기용 사무관(법무부 사회복귀과)이 참석하였으며, 박기배 부이사장, 이범식 부이사장, 송정숙 이사, 이철희 Task Force 팀장, 옥태석 부산지부장, 김계남 대구지부장, 김일룡 광주․전남지부장, 노숙희 충남지부장, 한형국 경북지부장, 이원일 경남지부장, 이재규…
● 성인 대상 마약류 위험성 인식도 조사 실시
지난해 11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주)월드리서치에 의뢰하여 성인대상 마약류 위험성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마약류 위험성 인식도 및 마약류 남용 현황, 마약퇴치운동본부의 활동 인식도 그리고 중독 회복자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내용들을 전화면접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요약은 본문의 내용 참조)
● 청소년대상 마약류 위험성 인식도 조사 실시
지난해 12월 전국 중⋅고등학생 3천6백37명을 대상으로 마약류 위험성 인식도, 마약류 사용경험, 예방교육 여부, 인터넷을 통한 마약류 및 유해약물 접촉가능성 및 구입여부, 마약퇴치 방안, 마약퇴치운동본부의 활동 인식도 및 참여의견 등에 대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 약물의존자 자조모임(NA)모임 및 가족모임 진행
송천재활센터에서는 매주 화요일 저녁 7시부터 8시까지 약물의존자 단약 자조모임인 NA모임을 진행하고 있다. 송천재활센터 입소자와 더불어 및 외래이용자(수강명령 및 기소유예 대상자), 전화 및 면접 상담을 통해 재활센터 및 NA모임을 알게 된 의존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매주 10여명, 연합모임에는 3-40명의 의존자와 그 가족들이 모여 단약을 유지하는데 있어 어려운 점, 성공적인 회복 경험담, 가족으로써 어려운 점들을 함께 나눔으로써 서로에게 힘이 되어 주고 있다. 약물의존의 경…
● 보호관찰소 약물대상자 수강명령 협력 집행 및 검찰 기소유예 교육진행
마약류관련위반으로 인한 수강명령 및 기소유예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약물의존에 대한 바른 이해와 송천재활센터를 소개해주고 치료․재활 동기를 고취시키고자 교육을 실행하고 있다. 약물 의존자에게 약물중독을 바르게 이해하고 어떤 방법으로 회복할 수 있는지, 마약퇴치운동본부소개, 사회복귀시설인 송천재활센터의 철학과 기능, 회복자들이 직접이야기 하는 “나는 이렇게 회복하고 있습니다.”의 내용을 통해 성공적인 모델링을 제시함으로 회복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
● 청소년 봉사단 동계캠프 실시
청소년봉사단(학생대표 정성일, 용인외고 3학년) 21명이 지난 2월 14일부터 17일까지 경기도 파주지역에서 다양한 봉사활동과 더불어 마약류퇴치 캠페인 및 바자회를 개최하였다. 초등생 대상 영어 놀이 교육과 약물 오남용 예방 교육 실시, 야외체험 학습, 마약류 및 약물오 남용 예방 가두 캠페인 및 바자회 실시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번 동계캠프는 지난 여름 하계캠프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되는 프로그램으로 주도 학생집단이 모든 것을 준비하고 진행하면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식이었다.